게임 유저들이 주로 어떤 미디어를 통해 친구를 초대하는지, 얼마나 많은 초대 건수를 발송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로그입니다. 또한 DAU (Daily Active User)수 대비 초대 건수를 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상용 서버 service_metrics-invitation2_log
개발 서버 service_metrics_test-invitation2_log

로그 스펙

필드명 설명 타입 필수여부
date 로그 발생 시각, 형식: 년-월-일 시:분:초,
예. 2012-01-19 16:24:00
string Y
timezone 로그에 입력하는 시간 파라미터 값의 UTC offset 값, 공백 없이 입력
예. “UTC+10:30”
string Y
channel C2S: Hive
KAK: 카카오
LIN: 라인
WEI: 웨이보
STE: 스팀
string(3) Y
channel_uid 로그인 채널에서의 유저 식별값(주로 bigint를 사용하지만 스트링형을 사용하는 채널들이 있을 수 있음)
라인과 같이 정보를 알수없는 경우는 “0” 으로 전송
string(64) Y
game 게임브렌드 네임 사용.(ex: derbydays),app_id의 세 번째 항목
예. com.com2us.littlelegends.kakao.freefull.apple.global.ios.universal => littlelegends
string(50) Y
game_uid 게임 서버에서 사용하는 유저 식별자 bigint Y
app_id Hive에서 사용하는 AppID
예. ‘com.com2us.derbyday.kakao.freefull.google.global.android.common’
string(200) Y
level 게임 내 유저 또는 캐릭터 레벨 (캐릭터가 다수면 최고 레벨)
레벨이 없는 경우는 0
int Y
country 라인(LINE) 게임에서만 사용하는 값으로, 국가를 의미.
형식: ISO 3166-1 예) KR라인게임은 client_ip를 가져올수 없으므로, 게임서버에서 client_ip기준으로 GeoIP lookup을 하여 국가코드를 가져옴
string(2) C2S, KAK – N
LIN – Y
media_id 친구 요청을 전송할 미디어 종류 코드:
1: Hive
2: 카카오
3: 라인
4: Facebook
6: SMS
7: 이메일
8: 밴드(BAND)
int Y
media_name 친구 초대 요청을 할 미디어 종류 이름:
“hub”: Hive
“kakao”: 카카오
“line”: 라인
“facebook”: Facebook
“sms”: SMS
“email”: 이메일
“band”: 밴드
추가시 담당자와 논의 필요
string Y
media_guest_uid 초대가 전달되는 미디어에서, 유저의 초대를 받는 유저를 식별하는 값.

HIVE: Hive의 uid
LINE: -1 (초대받는 유저가 게임을 하지 않는 유저이므로 게임 서버에 유저 식별자가 없음)
Kakao: -88387910967685013 와 같이 실제 앱센터아이디와 다르지만 혹시 쓸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집.
기타 미디어들은 각각의 api 형식에 따름

string(64) Y
client_ip 클라이언트의 IP, 이 값으로 GeoIP를 이용하여 country값 추출 string(32) C2S, KAK – N
LIN – Y
server_ip 서버의 IP string(32) Y
company 로그의 대상이 되는 게임 제작 회사:
예) “C2S”: 컴투스, “GVI”: 컴투스홀딩스
string(3) Y
server_id 서버 구분 코드
서버코드표 참조하여 ‘서버 코드(JSON 입력 코드)’를 입력
string Y

로그 예제

활용 예시

    • 초대 시 어떤 media_id(Hive, facebook 등)로 많이 하는지 확인 가능
    • 얼마나 초대 건수를 보내고 DAU대비 얼마나 보내는지
    • 보낸 유저수: count(distince channel_uid), 초대건수: count(*), 인당초대건수: 건수/보낸유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