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플레이 런처는 Hive를 적용한 모바일 게임의 PC 버전을 PC에 설치하고, 업데이트 및 실행하는 기능까지 제공합니다.

크로스플레이 런처

크로스플레이 런처의 설치부터 게임 실행까지 순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순서도를 확인하세요.

  • 실행 Flow
  • Windows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1. withhive.com > 게임 메뉴에서 다운로드할 게임을 선택하세요.
    2. 게임하기 > PC로 플레이를 클릭하세요.
    3. 크로스플레이 런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아래 파일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수동 설치 후 이용해주세요. 창에서 설치 파일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세요.
    4. 다운로드한 인스톨 파일을 실행하여 게임을 설치해 주세요. Windows 환경에서는 설치 패키지로 설치 후에 실행하세요.
    5. 설치 마법사를 종료하면 런처를 로딩합니다.
    6. 크로스플레이 런처 실행 후 게임 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게임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의 최신 릴리즈 버전을 조회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아래 화면이 노출되지 않을 경우, 다시 withhive.com의 해당 게임 페이지로 이동하여 PC로 플레이를 다시 클릭합니다.
    7. 설치 폴더 경로를 설정합니다.
    8. 게임을 설치합니다.
게임 업데이트

* PC에 설치된 게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에는 현재 버전에서 최신 버전까지 순차적으로 게임을 업데이트합니다.
* 예. 현재 버전이 v1이고 최신 버전이 v3인 경우
v1에서 v3을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고, v1에서 v2로 업데이트 후 v2에서 v3로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게임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는 로컬에 위치한 게임 설정 파일에 기록된 현재 게임 버전이 게임의 최신 버전인지 여부만 확인하여 판단하며, 각 게임 파일의 변경점은 확인하지 않습니다.

게임을 한번 설치하고 나면 Windows 바탕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파일은 게임을 업데이트해도 변경되지 않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을 변경하려면 게임을 삭제 후 재설치해야 합니다. 바로가기 파일명을 변경하려면 Hive 콘솔 앱센터 > 게임 목록에서 게임사 게임을 검색해서 클릭한 후, 아이콘 및 다국어에서 파일명을 변경하고 게임을 삭제한 후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게임 실행

게임이 설치되었으면 Windows의 경우 게임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바로가기가 없는 경우 withhive.com 의 해당 게임 페이지에서 게임하기 > PC로 플레이를 클릭하세요. 브라우저 알림으로 Crossplay Updater 실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Crossplay Updater 열기를 클릭하세요.

게임 설정 파일

게임 설정 파일명은 hive_game_{게임명}.info 형태로 지정되며 (예: hive_game_chronicles.info, hive_game_zenonia.info), 파일 경로와 제공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게임 설정 파일 경로

    • Windows: C:\Users\{user name}\AppData\Local\HIVE_Launcher\installedInfo

제공 내용

    • 게임 appid
    • 현재 게임 버전
    • 설치 완료 여부
    • 설치 경로
    • 게임명
    • info 파일 경로
오류 코드

오류 발생 시 다음과 같은 오류 알림 창이 노출됩니다. 오류 코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류 코드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웹 사이트에서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개발 가이드

이 가이드는 Hive 플랫폼이 아니라 게임 스튜디오가 만든 별도 웹사이트에서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사용해 Windows용 PC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가이드입니다.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플로우를 확인하고 게임을 서비스할 웹사이트에서 다음 조건들을 체크하여 만족하지 않은 경우 유저에게 오류 안내 팝업을 노출해야 합니다.
 

  • 최소 지원 OS 버전 : Windows 10 이상
  • AppID 체크 : 접속한 OS에 해당하는 AppID 유무 체크
  •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여부
    • 게임 설치와 실행을 버튼 하나로 처리하기 위해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 크로스플레이 런처 미설치 :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
      • 크로스플레이 런처 기설치 :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실행시키고 게임 정보를 전달
크로스플레이 런처 미설치 시 웹사이트 대응 안내

게임 서비스 사이트에서 게임 유저가 게임 실행 버튼을 클릭했을 때 유저 PC에 크로스플레이 런처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를 유도하거나 오류 메세지를 전달하는 등 대응이 필요합니다. 먼저, 유저 PC에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설치하기 위해 웹에서 Custom Scheme을 호출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웹에서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실행하는 Custom Scheme(예시: hivelauncher:?app_id=com.com2us.hivesdk.windows.steam.global.normal&start_point=9) 호출 시, 크로스플레이 런처가 설치되어 있으면 런처를 실행하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에 대응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로스플레이 런처와 게임을 한 번에 설치하기

게임 설치와 실행은 크로스플레이 런처로 진행하므로,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먼저 설치하도록 구현해야 합니다.

  1.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하기: 크로스플레이 런처가 유저 PC에 미설치된 상황에서, hivecrossplay-fn.qpyou.cn/hivecrossplay/p/w/Installer.exe를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파일 다운로드 버튼에 연결합니다. 아래는 “설치 파일 다운로드” 버튼에 연결한 예시입니다.
  2. 게임 설치하기: Hive 콘솔 > 앱센터 > AppID 관리 > AppID 목록 > 기본 정보 > 크로스플레이 정보에서 게임 자동 설치 URI를 유저 PC 클립보드에 복사하도록 구현합니다. 크로스플레이 런처 설치 후, 클립보드에 복사된 URI는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실행 시 유저 PC에 게임을 설치하는 데 사용됩니다.

샌드박스 환경에서 직접 구성한 페이지를 통해 배포 시, 게임 자동 설치 URI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로, 앱센터에서 확인한 자동 설치 URI가 “hivelauncher:?app_id=hivesdk.windows&start_point=9″라면

  1. URI에 샌드박스 환경변수 envi를 다음과 같이 쿼리 스트링으로 추가합니다.
    • hivelauncher:?app_id=hivesdk.windows&envi=SANDBOX&start_point=9
  2. 수정한 URI의 sha1 해시값(소문자)을 공백 한 칸을 삽입한 다음 위치에 추가합니다. 이 URI를 샌드박스 환경에서 배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hivelauncher:?app_id=hivesdk.windows&envi=SANDBOX&start_point=9 f3a426e2a65d6e0f6b61129905f15a2209b9746e
크로스플레이 런처가 설치된 상태에서 게임 실행하기
  1. Hive 콘솔 > 앱센터 > AppID 관리 > AppID 목록 > 기본 정보 > 크로스플레이 정보에서 게임 실행 URI를 게임 플레이 버튼에 연결합니다. 아래는 “PC로 플레이” 버튼에 연결한 예시입니다.
  2. JAVA의 URLEncoder.encode()와 JavaScript의 encodeURIComponent()의 차이로 인해서 JAVA에서 처리할 경우 replaceAll(“\\+”, “%20”)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샌드박스 환경에서는 앱센터에서 얻은 게임 실행 URI에 환경(envi)을 아래와 같이 추가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쿼리 스트링 형식으로 추가하며, 상용 환경에서는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 hivelauncher:?app_id=hivesdk.windows&envi=SANDBOX&start_point=9

게임 업로드

유저의 PC에서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통해 게임 설치 및 업데이트를 진행하려면 게임 데이터를 서버에 미리 업로드해야 합니다. 게임 데이터 업로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크로스플레이 런처 툴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주의 사항

게임 관련 주의 사항
  • meta.json 파일은 게임의 최상위 경로에 위치해야 하며, 게임 바로가기 아이콘 파일(.ico)의 상대 경로와 게임 실행 파일 상대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게임 아이콘 파일 제작 가이드를 참고하여 게임 개발 시 미리 게임 아이콘 파일을 제작하세요. (바로가기 ico는 Windows에서만 사용하므로 Mac 버전 게임은 아래의 icon 필드 생략 가능합니다.)
    • meta.json 내용 예시
      [크로스플레이 런처 툴 사용 가이드]의 Crossplay Launcher Uploader 사용 예시를 참고하세요.
    • 파일 삭제 기능
      아래의 표는 게임 삭제 시 추가로 파일 삭제를 실행하는 delete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합니다.

      유형 CSIDL
      (각 유저의 경로가 다른 경우 사용)
      general registrykey
      path 구성 CSIDL 값 + 나머지 경로 경로 root + 나머지 경로
      예시 목적 경로 C:\Users\username\AppData\Roaming에서 C:\Users\username\AppData\LocalCSIDL_LOCAL_APPDATA의 일반 경로이므로 0x1C/../Roaming이 됩니다. 목적 경로 HKEY_CURRENT_USER\SOFTWARE\Com2uS\regkey는 root HKEY_CURRENT_USER(0x80000001)나머지 경로 SOFTWARE\\Com2uS\\regkey로 구성됩니다.

      Note: 제거할 registry key는 하위 키(subkey) 없어야 함.

      [참조 가이드]

  • 게임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에 게임 바로가기가 생성됩니다. 바로가기 생성 후에는 게임 업데이트를 통한 게임 바로가기 변경이 불가합니다.
  • 게임에 빈 폴더 포함 시 지원되지 않습니다. (빈 폴더 지원 불가)
  • 게임 개발 시 PC 한 대당 하나의 게임만 실행할 수 있도록 게임 중복 실행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설치 경로
    • 크로스플레이 런처의 설치 경로에 # 또는 ;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크로스플레이 런처의 화면이 정상적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파일 색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통해 설치한 게임의 설치 경로에 # 또는 ;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Windows용 Hive SDK UI가 게임 화면에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게임 화면만 노출되거나, 게임 화면에 파일 색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 # 또는 ; 문자는 게임 내 폴더의 이름에도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 게임 빌드를 최초로 업로드한 후 게임 빌드 다음 버전을 업로드하려면, Hive 콘솔 > 크로스플레이 런처 > 게임 관리 > 다운로드 설정에서 게임이 배포 중이어야 합니다.
검수 상태 확인 (필수)

크로스플레이 런처 툴 가이드의 Crossplay Launcher Uploader > 적용 예시 > 5번 항목을 참고하세요. 파일 삭제 기능 delete 정상 동작 여부 확인 해야 합니다.

 


게임 아이콘 파일 제작

크로스플레이 런처를 통해 게임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과 시작 메뉴에 바로가기가 생성이 됩니다. 바로가기 생성에 필요한 게임의 .ico 파일 제작에 대해 알아보세요. 이 가이드에서는 ICO CONVERT를 활용한 아이콘 제작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아이콘 이미지로 사용할 이미지 파일을 준비하세요. (지원 형식: PNG, JPG, BMP)
  2. ICO CONVERT (https://icoconvert.com/)에 접속하세요.
  3. 파일 선택을 눌러 준비한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하고 Upload를 클릭하세요.
  4. 생성할 아이콘의 사이즈(16 x 16, 32 x 32, 48 x 48, 64 x 64, 128 x 128, 256 x 256)를 선택하세요.
  5. Convert ICO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에 나타나는 Download your icon(s)을 클릭하여 생성된 ico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